본문 바로가기

text

[이재삼]달빛 인간과 자연의 합일을 그리다. 달빛인간과 자연의 합일을 그리다. 임대식(아트사이드 큐레이터) 달빛이 가장 빛나던 밤. 눈길을 걸어본 사람은 기억할 듯 하다. 그 달빛이 비추는 눈이 얼마나 환하고 그윽하게 빛이 나는지. 그 빛이 얼마나 따뜻하게 느껴지는지. 달빛은 그렇게 밤에 빛나는 사물을 만드는 빛으로 인간의 가장 내면적인 정서를 비춰왔다. 어두운 밤에 어두운 사물은 더욱 어둡게 밝은 사물들은 더 밝게 비추는 것이 달빛이다. 즉 흑백의 경계를 더욱 공고하게 만들면서 사물들을 부드럽게 드러낸다. 또한, 달은 그 자체로 오래 전부터 많은 이들의 정서가 소통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대상이었다. 농경이 주요 생산활동이었던 예전에 달은 절기를 나누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따라서 달은 기울고 차기를 반복하면서 생산활동의 중심에 있어왔다. 또한,.. 더보기
[유정훈]작업단상 작업 단상 일상적 이야기, 일상적 감정, 삶을 살면서 부딪치는 것들 여러 요소들이 있지만 사람을 대하는 일, 보는 일 느끼는 일 등이 가장 관심이 간다. 이런 사람, 저런 사람, 이런 일, 저런 일, 현상적인 외형은 그 본질을 이해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물론 중요한 요소지만) 나는 인간의 본질적인 내적인 감정, 사회적인 관계들, 이성적인 관심, 자본주의의 물 성화, 인간소외 등등의 감정적인 부분들을 이야기 하고자 한다. 표현적으로는 감정적 드로잉, 이성적 정리 등을 통해 내외적인 회화적 요소들을 끌어내려 노력하고 있다. 한때, 회화의 기본적인 방법적 형태에 관심이 있었던 시절도 있었으나 지금은 나만의 표현법을 만들어 가는데 관심이 간다. 일반화된 형태와 일반화된 표현들은 나의 구미에 맞지 않는다. 보다.. 더보기
[이원석]I, Won Seok's Allegorical Sculpture- Talks about Brutality I, Won Seok's Allegorical Sculpture- Talks about BrutalityChoi Tae-man/art criticDogs and pigs appear instead of people in I Won-seok's work. I's work can be defined as allegorical sculpture, as it moves beyond the figurative representation of forms and uses anthropomorphised animals to reveal serious critique of society. As seen in Aesop's Fables, stories often use animals as their manin charac.. 더보기
[이원석]이원석의 우화조각이 진정으로 말하고 싶은 것들 이원석의 우화조각이 진정으로 말하고 싶은 것들최태만/미술평론가이원석의 작품에는 인간을 대신하여 개와 돼지가 등장한다. 그의 작품이 단순히 동물의 형상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의인화된 동물을 통해 심각한 사회비판적 내용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화조각이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이솝우화에서 볼 수 있듯이 교훈적, 풍자적인 내용을 동식물 등에 빗대어 엮은 이야기를 우화라고 한다. 우화적인 방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원석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특징으로 변형, 왜곡, 비약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설득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보는 재미'를 배가시키는 요인이기도 한다. 해학적이면서 반어적(ironic)인 그의 작품은 모두 그가 보고 느끼는 현실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에 대한 풍.. 더보기
[경향신문]모순과 위장의 '철' 없는 사회 풍자와 고발.. 철 조각가 성동훈 개인전 출처 : http://m.media.daum.net/m/media/culture/newsview/20150615211435587 경향신문철 조각가 성동훈(47)은 지난해 대만에서 작업하던 도중, 세월호 침몰 소식을 접했다. 너무 안타깝고 슬펐던 그는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담아 ‘검은 통곡’이란 작품을 만들었다. 꼬리부터 거꾸로 매달린 상어의 모습이 어딘지 모르게 익숙하다 했더니, 바로 뒤집힌 세월호 모양이다. 거친 질감의 철로 만들어진 상어의 배, 즉 세월호 선실 쪽에는 하얀 바탕에 노란 리본이 그려진 도자기 구슬 304개가 촘촘히 박혀 있다. 육중한 무게가 건네는 섬세한 위로에 눈시울이 뜨거워진다.지난 12일 사비나미술관(서울 율곡로)에서 개막한 성동훈 개인전 ‘가짜 왕국(Fake of the.. 더보기
[최은동] 망각과 결핍 망각과 결핍 -미시적(微視的) 관점으로 세상보기 박李창식(그룹스폰치 대표) 저기 서 있는 나무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봄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어느 날 창가에 앉아 스스로 이런 질문을 해 본다. 봄비에 생기를 얻은 나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채도와 명도가 한층 보강된 듯 싱그럽고 넉넉하게 보인다. 나뭇가지마다 초록색 잎사귀들이 풍요롭게 자라나 있으며, 때로는 이파리보다 먼저 피어난 새하얀 꽃송이가 아름다웠다. 이처럼 나무에 피어난 꽃과 잎사귀에서 우리는 생명의 존귀함을 얻는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이 생명 전부는 아닐 것이다. 나무는 땅속에 감춰진 뿌리에 의존하면서 햇볕과 바람 그리고 빗방울로 생명을 이루고 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수백 수천 가지의 기분 좋은 무언가로 이루어진 환경 속에서 고고.. 더보기
[박현주의 아트Talk] '식칼 든 여인' 조각가 송진화 "전 칼이 좋아요. 단호하잖아요" 출처 : 아주경제 http://www.ajunews.com/view/20150603143537693 [박현주의 아트Talk] '식칼 든 여인' 조각가 송진화 "전 칼이 좋아요. 단호하잖아요" [송진화 작가가 자신과 꼭 닮은 조각앞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박현주기자]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위로 쭉 가늘게 찢어진 눈. 그 눈 하나가 모든 걸 말한다. 슬프게하고, 웃게 만들고 배짱을 부리게도 한다. 또 아무생각도 없게 만든다. 둥근 얼굴엔 눈 하나밖에 없는데도 감정이 전달된다. 가만히 보면 안다. 그 이유를. 그녀의 손과 발 때문이다. 힘이 팍 들어간 구부린 손가락, 다섯개중 하늘을 향해 쫙 핀 엄지 발가락. 까치발을 든 뒤꿈치에도 에너지가 짱짱하다. '살아있다'는 당당함에 미소가 활짝 피고 '.. 더보기
[인터뷰] 송진화 작가 "상처받은 '내면의 아이' 알아가는 중" 출처 : 뉴시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07_0013711785&cID=10702&pID=10700 [인터뷰] 송진화 작가 "상처받은 '내면의 아이' 알아가는 중" '너에게로 가는 길' 개인전 【서울=뉴시스】신진아 기자= “내 안의 자라지 못한 나. 내면의 아이를 마주하게 됐다.” 다음달 8일까지 종로구 통의동에 있는 아트사이드갤러리에서 개인전 ‘너에게로 가는 길 (The Way to You)’을 여는 송진화 작가의 말이다. 동양화를 그리다 지난 2006년부터 나무를 깎기 시작한 송진화 작가는 이번 개인전에 지난 3년간 작업한 나무 조각 작품 40여 점을 선보인다. 찢어진 눈에 짧은 머리를 한 소녀 혹은 여자의 형상을 한 전.. 더보기
한 지붕 세 작품 …'아트 디엔에이' 전 출처 : 이데일리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41&newsid=01282486609373840&DCD=A404&OutLnkChk=Y 한 지붕 세 작품 …'아트 디엔에이' 전 조각가 권석만·차현주·권현빈 부부·아들이 함께 전시 6월7일까지 통의동 진화랑[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부부 조각가와 그 아들 조각가까지 2대가 함께 꾸민 전시가 열린다. 오는 6월 7일까지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진화랑에 펼친 ‘아트 디엔에이’(ART DNA) 전이다. 부부인 권석만(50), 차현주(49) 작가와 이들의 아들인 권현빈(25) 작가 등 3명의 조각가가 각기 다른 조작품 20여점을 내놓았다. 남편인 권 작가는 스테인리스스틸 티타늄골드를 재료로 새싹이 돋아나는 풍경을 담.. 더보기
[송진화]아, 너였구나. 아, 너였구나. 누군가를 처음 만나 자신을 소개하는 순간 제일 먼저 우리는 자신의 이름을 이야기한다. 메일을 쓰거나 카페에 가입할 때에도 우리는 온라인 상의 이름인 아이디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름이나 아이디 같은 기호들은 언제든 다른 사람에게 도용당할 수 있는 불완전한 자기규정수단이며 그래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지문이나 홍채인식과 같은 몸 인식 기능들이다. 이렇게 몸이라는 것은 ‘대체 불가능한 나’를 설명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며 나 자체이다. 그렇다고 해서 나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신체 특징만을 가지고 설명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기본적인 개인 정보와 더불어, 좀 더 관계가 지속되면 자신의 성격이나 기호, 가치관, 지나온 일과 앞으로의 계획 등 사회 안에서 자신이 관계 맺어온 대.. 더보기